국민연금은 대부분 정기적으로 평생 수령하는 연금 방식이지만,
특정한 경우에는 일시금으로 받는 ‘반환일시금’ 수령이 가능합니다.
이 글에서는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수령 조건, 지급액, 신청 방법을 안내합니다.

📌 1. 반환일시금이란?
반환일시금이란, 국민연금을 일정 기간 납부했지만
수령 자격(10년 미만)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,
본인이 납부한 금액을 일시금 형태로 돌려받는 것을 말합니다.
✅ 2. 반환일시금 수령 조건 (2025년 기준)
조건설명
|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미만 | 연금 수급 자격 없음 |
| 만 60세(또는 연금 개시 연령) 도달 | 납입을 더 이상 하지 않음 |
| 연금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함 | 노령연금 또는 장애/유족연금 수령 불가 |
위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반환일시금 신청 가능
📝 3. 지급 대상 금액
- 본인이 납부한 연금 보험료의 100% + 이자 일부
- 사용자(회사) 부담분은 포함되지 않음
- 예: 월 10만 원씩 5년 납부 → 약 600만 원 + 이자 환급
🛠️ 4. 반환일시금 신청 방법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방문 신청
- 신분증 + 본인 계좌번호 제출
- 2주~4주 내 지급 완료
※ 신청하지 않을 경우, 5년간 미신청 시 소멸될 수 있음
→ 반드시 기한 내 신청 필요
⚠️ 주의사항
- 한 번 수령하면 다시 국민연금 재가입 불가
- 향후 연금 수령 자격이 사라짐 (종신 연금 포기)
- 추후 "추납 제도" 활용 불가
✅ 마무리하며
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은 선택의 문제입니다.
단기적으로 필요한 자금인지, 장기적으로 연금이 유리한지를 잘 따져보고 결정해야 합니다.
특히 10년 채우기 직전이라면, 추가 가입을 통해 수급 요건 충족을 먼저 검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